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지식

'만 나이 통일법' 제대로 이해하기!

by 지금평화 2023. 6. 8.
반응형

2023년 6월 28일부터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법이 달라집니다. 바로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만 나이 통일법'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만 나이가 헷갈리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썸네일
출처: 법제처

 

'만 나이' 뜻

출생일을 기준으로 0살로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나이 계산법을 뜻합니다.

🔖 단, 1세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월 수로 나이를 표시합니다

 

 

(「행정기본법」•「민법」 개정) 만 나이 계산 및 표시 원칙 확립

<2022. 12. 27. 공포, 2023. 6. 28. 시행>

행정기본법
제7조의2 (행정에 관한 나이의 계산 및 표시)
행정에 관한 나이는 다른 법령 등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생일을 산입하여 만(滿) 나이로 계산하고, 연수(年數)로 표시한다. 다만, 1세에 이르지 아니한 경우에는 월수(月數)로 표시할 수 있다.
민법
제158조 (나이의 계산과 표시)
나이는 출생일을 산입하여 만(滿) 나이로 계산하고, 연수(年數)로 표시한다. 다만, 1세에 이르지 아니한 경우에는 월수(月數)로 표시할 수 있다.

 

 

'만 나이' 계산하는 방법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이번 연도 (2023년) - 태어난 연도 (1990년) - 1 = 현재 나이 32세

 

올해 생일부터

이번 연도 (2023년) - 태어난 연도 (1990년) = 현재 나이 33세

 

만 나이 계산기 예시
출처: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앱 및 법제처 홈페이지 등 온라인 포털에서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하세요!

 

 

'만 나이 통일법' 시행 이후

 

✨우리 일상에서 나이로 인한 혼란이 없어집니다!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법령, 계약서, 문서 등에 나오는 나이는 '만' 자가 없어도 만 나이를 의미합니다.
(00세 = 만 00세)

 

📌따라서 앞으로는 법령, 계약서, 문서 등에 사용된 나이가 한국식 나이, 만 나이, 연 나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두고 일어났던 법적 다툼이나 민원이 사라질 으로 기대됩니다.


✨나이는 '만' 자가 없어도 모두 만 나이를 의미합니다!

만 나이 설명 예시 그림
출처: 법제처
만 나이 설명 예시 그림
출처: 법제처

 

만 나이 통일로 혼란이 사라지는 사례

 

📌사례 1

시행 이전

-버스 회사 민원 게시판-

아이 버스 요금 환불해 주세요

제 아이가 한국식 나이로 7살인데,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아 만 5세입니다. 만 6세가 되기 전까지는 어른과 같이 타면 아이의 버스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기사님께서 저희 아이가 몇 년생이냐 물어보시더니 7살이라며 요금을 내라고 하셨습니다.

시행 이후

2024년 봄

승객: "제 아이가 2018년 10월 28일생이라 아직 5살입니다."

버스 기사: "네! 올해 10월 27일까지는 5살이니 아이 요금은 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례 2

시행 이전

주민: "자격기준은 공고일 기준으로 65세 이상이라더니 왜 내가 자격이 없다는 거죠!"

직원: "선생님! 공고된 나이는 만 나이를 말합니다. 아직 64세이셔서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시네요."

시행 이후

2023년 가을

주민: "제가 1958년 6월 28일생이라 65세가 되어서 신청하러 왔습니다. 이제껏 한국식 나이인 줄 알고 있었네요."

직원: "그러셨군요. 이제 만 나이 통일법이 생겨서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


📌사례 3

시행 이전

알약을 12세 미만은 1알, 12세 이상은 2알 복용하라고 하는데, 나는 몇 알을 먹어야 하는 거지?

시행 이후

알약을 12세 미만은 1알, 12세 이상은 2알 복용하라고 하는데, 나는 아직 생일 안 지나서 12세 미만이니 1알만 먹으면 되겠구나!

 

 

만 나이 Q&A (출처: 법제처)

 

Q : 만 나이를 사용하면 같은 학년 친구에게도 형, 누나, 언니, 오빠라고 불러야 하나요?

A : 만 나이를 사용하면 같은 반에서도 생일에 따라 나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친구끼리 호칭을 다르게 쓸 필요는 없습니다. 만 나이 사용이 익숙해지면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졌던 서열문화도 점점 사라질 것입니다.

 

Q : 국민연금 수령기간, 기초연금 수급 시기 등에 변화가 생기나요?

A : 해당 사항들은 이번 개정으로 인해 달라지지 않습니다. 지금도 법령상 나이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Q : 나이를 세는 방식 중 '연 나이'라는 것이 있던데, '연 나이'는 무엇인가요?

A : '연 나이'란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는 방법으로 나이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청소년보호법」 등 일부 법령에서 '연 나이' 방식으로 나이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보호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청소년" 이란 만 19세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한다.

 

Q : 그럼 연 나이 법령도 전부 만 나이 기준으로 바꾸는 건가요?

A : 국민 편의를 위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연 나이를 사용하고, 그 외에는 국민 의견을 수렴하여 만 나이 기준으로 바꾸어 나갈 계획입니다.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면 그동안 여러 가지 나이 계산법을 사용하면서 발생했던 혼선과 불필요한 법적, 행정적 분쟁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만 나이가 대한민국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모두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만 나이 통일법' 제대로 이해하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